본문 바로가기
기타

피해자학 3장 요약(피해자학 이론)

by Dr.Crow 2020. 11. 4.

피해자학 이론

 

1. 구조적 이론(거시적, 정적인 초점)

 

1) 근린맥락이론(~사회해체이론)

-지역사회의 특성과 범죄와의 연관성

-범죄 영향: 근린 효과(실업, 소득 등의 거시적 요인) > 개인적 특성(결혼, 성별, 인종, 연령)

 

2) 가족구조이론

범죄 피해 up: 구조적 결함(모부 중 1명 없음), 여성 가장, 가족 5명 이상 고밀도 가구 비율 높음, 이주성 높음    

 

 

2. 과정적 이론(미시적, 개인적 초점)

 

1) 학습이론-비행친구, 모부와의 애착

 

2) 통제(균형)이론

 (1) 통제 과잉

 -통제가하는 양 > 통제 받는 양

 -자율적 형태의 비행. ex 타인 착취 

 (2) 통제 결핍

 -통제 가하는 양 < 통제 받는 양

  -억압적 형태의 비행. ex 반항

(1), (2) 둘 다 비행 가능성 up, 피해자 될 가능성 up

 

 3) 인생 항로적 관점(=생애과정적 관점) (~발달론적 관점: 유기체의 변화에 초점) 

  -유기체 밖의 사건들, 사회학적 역할에 관심

  -낮은 자아통제력->범죄 피해 up

 

4) 연령 등급 통제 이론 

 -인간은 통제 없으면 언제든 범죄를 저지름

 -고용, 결혼(유대, 사회적 자본)으로 통제

 -동조에로의 위기(모부, 선생님, 직장상사, 배우자에게 동조하지 않아 발생하는 위기)는 연령에 따라 다름

 -연령에 따라 달라지는 통제는 범죄자를 교화시키는데 중요 

 

 

3. 기회적 이론(사회적, 일상적 기회에 초점)

 

1) 생활양식 이론 

  -주요 변수: 나이(어릴수록), 고용상태(고용되었을수록), 결혼상태(미혼일수록), 성별(남성일수록) 피해 up

  -선행사건(역할기대+구조적 제한) + 연결기제 

  -집밖에서 활동할 기회가 많을 수록 피해 up

 

2) 일상활동 이론

 -동기화된 범죄자, 감시(보호)의 부재, 적절한 대상 + 기회 -> 범죄 발생

 -경찰보다 일반 시민과 같은 비공식 통제가 더 효과적

 

 

4. 특성이론(생물학적, 심리적 특성에 초점)

 

1) 유전자 

 -신경전달물질, 유전적 다형성 + 특정한 환경적 조건 -> 범죄 

 -도파민 연구: 도파민 수용체 DRD2 유전자의 다형체를 가진 사람 + 비행친구 -> 폭력 피해 up

 

2) 술(~생활양식이론, 일상활동이론)

-성폭력, 폭력 피해 up 

-자제력 감소, 판단능력 저하, 신고율 하락-> 피해 up

-술을 마신 장소가 중요

 

 
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90년대생 여자들이 사라지고 있다  (1) 2020.11.15
피해자학 4장  (0) 2020.11.05
피해자학 2장 정리  (0) 2020.10.27
추상미술의 선구자 힐마아프 클린트  (0) 2020.08.11
부동산 투자 10 계명  (0) 2020.07.04

댓글